기록컬렉션

기록컬렉션

- 단어* : 전방일치(Right Truncation) 표현식으로 해당 단어로 시작하는 모든 단어 또는 문장을 검색
ex) 세월호*     => 검색결과: 세월호, 세월호선체조사위원회, 세월호 인양

- *단어 : 후방일치(Left Truncation) 표현식
ex) *보고서     => 검색결과: 보고서, 상황보고서, 발간 보고서

- 완전일치(Exact Match) 표현식: 검색창에 입력하는 모든 키워드는 해당 키워드와 일치하는 단어만 검색됨.
ex) 크레인붐     => 검색결과: 크레인붐 (주의: "크레인붐대" 같은 단어는 검색되지 않음)

- " " 표현식 : " " 안에 들어 있는 문구와 정확히 일치하는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수사를 위한"

- + 연산자: A와 B가 모두 포함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램프+호이스트

- ! 연산자: 세월호로 시작하는 문구 중 선체인양 문구가 제외된 검색 결과를 원할 때 사용
ex) 세월호 !선체인양

- 기타 예제: 정보사전에 해당하는 아이템을 모두 검색 시
ex) 인물+용어+연표+기관 > 국가기관+기관 > 기업+기관 > 시민단체+기관 > 피해자단체

검색결과 : 36건 출력
  • 기관 > 국가기관
  • 기관 > 국가기관
  • 기관 > 피해자단체
  • 1. 들어가며 2. 박탈당한 권리 3. 국가와 기업 언론의 의무와 시민의 책임 4. 피해자별 권리 쟁점과 평가 별첨1 인권실태조사단 활동경과 별첨2. 4월 18일 세월호 집회 인권침해 감시보고서 별첨3. 5월 1일과 2일 세월호 집회 인권침해 감시보고서 별첨4. 존엄과 안전에 관한 416인권선언운동을 제안합니다
  • , 기간내 활동 완료가 어려운 경우 위원회의 의결로 한차례만 1년 이내에서 연장할 수 있음. *양 참사의 규모 및 조사대상 범위가 방대하고 활동기간 내에 조사결과에 대한 의결절차까지 이뤄져야 함 → 연내 완료 곤란 - 가습기살균제참사 피해신청자 6,360명(’19.4.5. 기준, 생존 4,963명, 사망 1,397명), 세월호참사 피해자 1,403명(세월호 피해지원 특별법 제2조 제3호의 피해자) - 가습기살균제참사 관련 기업 100여개 이상, 양